고구려 연표 (高句麗 年表)
제1대 동명성왕 (BC37-BC19)
58 BC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 탄생함
37 BC 주몽이 졸본에 고구려를 건국.
36 비류국왕 송양 항복.
32 행인국을 정벌하다.
28 북옥저를 정벌하다.
제2대 유리왕 (BC19-AD18)
18 유리왕 즉위
9 선비를 공격, 속국으로 삼다.
3 AD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천도하다.
13 부여의 침략을 크게 격퇴하다.
14 양맥을 멸망시키고 현도군 고구려현 공격하다.
제3대 대무신왕 (18-44)
18 고구려 대무신왕 즉위
21 부여를 공격하다.
26 개마국, 구다국을 정벌하다.
28 후한의 요동태수가 침입하다.
37 최리의 낙랑을 멸망시키다.
44 후한 광무제가 낙랑을 정벌하여 살수 이남에 군현을 설치하다.
제 4대 민중왕 (44-48)
44 고구려 민중왕 즉위
제5대 모본왕 (48-53)
48 고구려 모본왕 즉위
49 후한의 우북평, 어양, 상곡, 태원 등의 지방을 습격하다.
제 6대 태조대왕 (53-146)
53 고구려 태조대왕 즉위
55 요서에 10성을 쌓아 한의 침입에 대비하다.
56 동옥저를 정벌하다.
68 갈사국이 항복해오다.
72 조나를 정벌하다.
74 주나를 정벌하다.
98 책성 지역을 순수하다.
118 후한의 현도군 공격하다.
121 후한 유주자사 침입을 물리치다.
122 후한 현도군을 공격하였으나 부여의 방해로 패배하다.
제 7대 차대왕 (146-165)
146 고구려 차대왕 즉위
제 8대 신대왕 (165-179)
165 고구려 신대왕 즉위
166 명림답부를 국상에 임명하다.
172 고구려와 한나라 사이에서 좌원대첩이 일어남
후한의 침입을 명림답부의 계책으로 물리치다.
제9대 고국천왕 (179-197)
179 고구려 고국천왕 즉위
184 후한 요동태수의 침입을 물리치다.
191 을파소를 국상에 임명하다.
194 진대법을 실시.
제10대 산상왕 (197-227)
197 산상왕 즉위
209 환도산성으로 천도.
제11대 동천왕 (227-248)
227 고구려 동천왕 즉위
242 요동 서안평현을 공격하여 쳐부수다.
244 위나라의 관구검이 고구려를 침공
246 위(魏)의 유주자사 관구검이 침입을 물리치다.
247 평양성을 쌓고 수도를 옮기다.
제12대 중천왕 (248-270)
248 고구려 중천왕 즉위
259 위(魏) 침입을 양맥곡에서 대파하다.
제13대 서천왕 (270-292)
270 고구려 서천왕 즉위
276 왕이 신성을 순시하다.
280 숙신의 침입을 격퇴하다.
제14대 봉상왕 (292-300)
292 고구려 봉상왕 즉위
293 모용선비의 침입, 고노자의 활약으로 물리치다.
294 창조리가 국상이 되다.
296 모용외가 침입하여 서천왕의 무덤을 파헤치다.
제15대 미천왕 (300-331)
300 고구려 미천왕 즉위
302 현도군 공격, 8천명을 노획하여 평양으로 옮기다.
311 요동 서안평을 점령하다.
313 낙랑군을 병합.
314 대방군을 몰아내다.
제16대 고국원왕 (331-371)
331 고구려 고국원왕 즉위
334 평양성을 증축하다.
342 모용황(慕容皝)이 침입, 미천왕의 시신과 남녀 5만 명을 잡아가다.
343 미천왕의 시신을 돌려받다. 평양 동황성으로 옮기다.
355 왕모 주씨가 돌아오다.
371 백제 근초고왕이 고구려를 침공.
평양성 전투에서 고국원왕이 백제의 화살에 맞아 전사.
제17대 소수림왕 (371-384)
371 소수림왕 즉위
372 전진에서 불교가 들어옴. 태학을 설치.
373 율령을 반포.
375 백제 수곡성을 공격하다.
377 백제가 평양성을 공격해오다.
제18대 고국양왕 (384-391)
384 고국양왕 즉위
385 요동군, 현도군을 함락하고 남녀 1만을 잡아오다.
386 왕자 담덕을 태자로 삼다.
제19대 광개토왕 (391-412)
391 광개토대왕 즉위
392 백제를 침공. 백제 10성을 빼앗고, 관미성을 함락시킴.
393 거란을 정벌, 민가 1만 명을 귀순시키다.
평양에 9개 사찰을 창건하다.
394 백제와 패수에서 싸워 이기다.
395 거란을 토벌하다.
396 백제를 공격, 58촌 700촌락 빼앗고, 아신왕의 항복을 받다.
숙신을 정벌하다.
398 보기 5만으로 신라를 구원하고, 왜를 물리치다.
399 후연이 신성 남소성을 함락하고 700리를 빼앗아가다.
400 후연의 숙군성 점령. 신라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
402 백제와 화통하여 대방 지역에 침입한 왜를 격퇴하다.
404 후연의 연군을 공략하다.
405 후연이 요동성을 공격해왔다가 패배해 돌아가다.
406 후연의 군대가 3천 리를 행군하여 목저성을 공격해왔으나 패배해 돌아갔다.
407 후연을 격파, 갑옷 1만여 벌을 빼앗다.
410 동부여를 정벌하다.
제20대 장수왕 (413-491)
413 장수왕 즉위
414 광개토대왕릉비를 건립
427 평양으로 천도.
436 북연왕 풍홍을 요동으로 데려오다.
438 북연왕 풍홍을 죽이다.
468 신라 실직주성을 공격하여 취하다.
469 백제가 남쪽 변방을 공격해오다.
475 백제 한성을 함락시킴. 개로왕을 살해.
481 신라 미질부를 공격하다.
제21대 문자명왕 (492-519)
491 문자명왕 즉위
491 부여왕이 항복해옴.
494 부여 고구려에 의해 멸망함
512 백제를 쳐서 가불과 원산 2성을 함락시킴.
제22대 안장왕 (519-531)
519 안장왕 즉위
529 백제 혈성을 함락하고, 오곡에서 싸워 이김.
제23대 안원왕 (531-545)
531 안원왕 즉위
544 녹군과 세군이 싸워 세군측 2천 명이 피살되다.
제24대 양원왕 (545-559)
545 양원왕 즉위
551 돌궐이 침략하였다가 격퇴되다.
557 환도성에서 간주리가 모반을 하였다가 죽임을 당하다.
제25대 평원왕 (559-590)
559 평원왕 즉위
586 장안성으로 도읍을 옮기다.
제26대 영양왕 (590-618)
590 영양왕 즉위
598 고구려가 요서지방을 공격, 수나라가 30만 대군으로 침략해 왔다가 물러감.(1차 침입)
여·수 전쟁이 시작
600 태학박사 이문진에게 명하여 신집 5권을 만들다.
612 수의 제2차 침략. 을지문덕이 살수대첩에서 수나라 군대를 대파
613 수의 제3차 침략
614 수의 제4차 침략
제27대 영류왕 (618-642)
618 영류왕 즉위
631 당이 고구려 경관을 허물다. 천리장성이 완성되다.
제28대 보장왕 (642-668)
642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 보장왕이 즉위
645 당나라가 침공, 양만춘이 안시성 전투에서 당 태종의 군대를 대파
655 백제, 말갈과 연합하여 신라 33성을 점령하다.
666 연개소문이 죽고 내분이 일어나다.
668 고구려가 멸망하다.
'한국 > 한국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구려 왕조 계보(高句麗王朝系譜) (0) | 2022.07.12 |
---|---|
신라 연표 (新羅 年表) (0) | 2022.07.11 |
금관가야 왕조 계보(金官伽倻王朝系譜) (0) | 2022.07.11 |
조선 왕조 계보(朝鮮王朝系譜) (0) | 2022.07.11 |
고려 왕조 계보(高麗王朝系譜) (0) | 202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