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의 구조와 명칭
朝鮮王陵의 構造와 名稱
진입공간(進入空間) -----------------------------------------------------------------------------------------
속세(俗世)의 공간
제실(祭室)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지은 집. 능을 관리하기 위해 능참봉(陵參奉)이 거처하던곳
화소(火巢) : 산불을 막기 위하여 능원의 울타리 밖에 있는 나무나 풀을 불살라 버린 곳
금천교(禁川橋) : 속세와 신성한 공간인 왕릉을 구분하는 역할을 하는 돌다리
제향공간(祭享空間) -----------------------------------------------------------------------------------------
산 자가 죽은 자를 맞이하여 제사를 지내는 공간
능침공간(陵寢空間) -----------------------------------------------------------------------------------------
죽은 자를 위한 공간
서오릉(西五陵)_익릉(翼陵) P20210423
곡장(曲墻) : 능상을 보호하기 위해 삼면으로 둘러놓은 담장
능상(陵上): 왕과 왕비의 무덤.
석호(石虎) : 왕릉을 지키는 호랑이 모양의 석물
석양(石羊) : 왕릉을 지키는 양 모양의 석물
망주석(望柱石) : 봉분(封墳) 좌우에 세우는 돌기둥
혼유석(魂遊石) : 혼령이 쉬고 노는 곳
계절석(階節石) : 능침 공간을 구분지어 놓기 위해 능 앞에 편평하게 만들어 놓은 장대석.
상계(上階) :능침 공간의맨 위의단으로 봉분이 중심임.
문인석(文人石) : 무덤을 지키는 문관.
무인석(武人石) : 능(陵) 앞에 세우는 무관(武官) 형상으로 만든 돌
석마(石馬) : 말의 형상을 조각한 돌, 문인석 · 무인석의 한 발 뒤나 옆에 서 있음
장명등(長明燈) : 어두운 사후 세계를 밝힌다는 의미를 지닌 석등.
중계(中階) : 문인석과 석마가 세워진 중간단으로 가운데에 장명등이 설치되어 있다.
난간석(欄間石) : 능상(陵上)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막아세우는 돌로 만든 구조물.
병풍석(屛風石) : 봉분(封墳)을 보호하기 위하여 봉분 아래에 둘러놓은 넓적한 돌.
세호(細虎) : 망주석 2/3지점에 새긴 작은 호랑이 형상의 동물
고석(鼓石) : 혼유석을 괴는 북 모양으로 생긴 둥근 받침돌.
사초지(莎草地) : 정자각에서 무인석까지 심하게 경사진 곳.
한국 건축 용어
https://seasoner2020.tistory.com/63
한국건축용어
한국건축용어 韓國建築用語 韓国建築用語 Korean architectural terminology 기와 관련 용어 blog.daum.net/kininaruki/6985 기와 관련 용어 기와 관련 용어 瓦関連用語 기와공(기와工) 기와장이 기왓장(기왓張)
seasoner2020.tistory.com
기와 관련 용어
https://seasoner2020.tistory.com/1091
기와 관련 용어
기와 관련 용어 瓦関連用語 기와공 기와장이 기왓골 기왓등 기왓장(기왓張) 내림마루 마구리 망새 망와(望瓦) 머거블 부고 수막새 수키와 숫마룻장 아귀토(아귀土) 암마룻장 암막새 암키와 와박
seasoner2020.tistory.com
한옥 관련 철물
https://seasoner2020.tistory.com/972
한옥 관련 철물
한옥 관련 철물 가막쇠 각꺽쇠 간철 갈고량쇠 갈고리 갈고리걸쇠 갈고리손잡이 갈고리자물쇠 갈구리들쇠 개금(開金) 거금 거멀정 걸쇠 걸쇠손잡이 겹철(겹鐵) 경첩 고두꽂이쇠 고두리손잡이 고
seasoner2020.tistory.com
'건축물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옥 철물) 부시 (0) | 2022.07.27 |
---|---|
맞배지붕 (0) | 2022.07.26 |
(왕릉) 어로(御路) (0) | 2022.07.26 |
(왕릉) 향로(香路) (0) | 2022.07.26 |
(왕릉) 참도(參道) (0) | 2022.07.26 |